- 왜?
- 1. 선행
- 2. 파일명, 디렉터리명
- 3. 출처의 경우
- 0. Preface
- A. Purpose
- 1. Citing References
- A. References in Text
- B. References within a Reference
- 2. Style
- A. Format
- B. Guide
- 4. Notes
- A. 쉼표의 사용 – 1
- 쉼표를 따옴표 내부에 기입하지 않고 외부에 표기한 것
- B. 쉼표의 사용 – 2
- IEEE는 URL/DOI 표기 시 항목 간 구분에 마침표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 참조 표기 방식의 실 사용시, 대부분의 참조 자료가 웹사이트 자료일 것으로 예측, 쉼표를 사용해 통일성을 주었습니다.
왜?
기준이 존재하며 해당 기준에 맞게 깔끔한 것을 선호합니다.
그런데, 파일/디렉터리/주석(코드 내 코멘트)이 많아지면서 난잡해지는 경향이 있어 하나로 통일하고자 개인적인 서식 표준을 만듭니다.
특히, 파일명과 디렉터리명은 가능한 UNIX 철학을 따릅니다.
ol
로 작성된 경우 우선 순위로 작용합니다.
1. 선행
원작자가 존재하는 경우, 원작자의 의도를 따릅니다.
기존 양식이 존재하는 파일을 수정하는 경우에는
- 기존 양식 규정을 찾아 적용합니다.
- 양식 규정을 찾지 못하는 경우, 기존 서식을 참조해 최대한 유사하게 작성합니다.
2. 파일명, 디렉터리명
(참조)
- 첫 글자 소문자 사용
XDG Base Directory
은 어쩔 수 없음
→ 차라리 다른 곳에서도 같은 이름은 같은 양식은 따르는 게 보기에 좋음
- Desktop
- Documents
- Downloads
- Music
- Pictures
- Videos
등- 띄어쓰기는 가급적 자제
- 공백 문자는
_
로 대체 - 논리적 구분이 가능한 추가 설명은
-
로 대체
3. 출처의 경우
참조 표기 방식의 기본 골격은 IEEE 규격에서 따왔습니다.
0. Preface
A. Purpose
형식적 요소들을 제거하여 비형식적 글과 매체에서 쓰기 편하도록 개선합니다.
추가적으로 논문 등 공적 매체에서 다른 논문 등의 공적 매체를 인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작되고 활용되는 기존 참조 표기 방식들과 달리 온라인 매체에서 참고할만한 링크를 공유하기 편리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개선 목표를 잡았습니다. 이러한 목표로 수정된 사항은 대표적으로 쉼표와 마침표 사용과 일부 문법적 요소를 완화, 수정한 것입니다. (‘4. Notes, A. 쉼표의 사용 – 1’ 참고)
그리고 꼭 논문에서 저자 등을 활용한 인용이 아니라 온라인 매체에서 상대방에게 표제어나 개념어에 대한 상세한 풀이를 제공하는 링크 혹은 다른 견해가 잘 정리되어 있는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합니다.
사진 자료와 영상 자료를 적는 기준에도 부합하도록 개선합니다.
1. Citing References
A. References in Text
IEEE의 규정과 마찬가지로 참조 표기 방식도 기재되는 모든 참조가 반드시 인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본문에서 인용했다면, 인용한 순서대로 참조 목록을 작성합니다. 인용시 대괄호와 숫자로 참조 목록 번호를 표기하며 문장 부호 내부에 작성합니다.
인용은 저자명을 밝히며 하는 것이 원칙이나 표제어, 개념어에 대한 풀이 링크를 인용하는 경우, 해당하는 표제어와 개념어를 통해 인용할 수 있고 혹은 매체를 언급하며 인용할 수 있습니다. 그냥 지칭 대명사를 활용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2인 이상의 저작물의 경우 한 명을 적고 ‘et al.’로 명시합니다. 그러나 참조 목록에서는 제원에 맞게 3인까지 기재합니다.(‘II. Style, B. Guide, 3. 저자’ 항목 참조)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는 홍길동[1]이 자세히 정리해두었으나, 부족한 경우, 박사님 et al.[2]이나 위키피디아의 레이저[3] 페이지, 메타에서 발행한 제원[4]을 참조하시면 좋습니다.
B. References within a Reference
IEEE와 달리 인용 표기 내부에서 추가 설명을 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인용 표기 자체는 반드시 대괄호 한 쌍과 그 내부의 숫자로만 이루어집니다. 상세한 지칭을 표기하고자 하는 경우, 인용을 가리키는 문장을 통해 합니다.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Do Not!!
참조 방식에서는 '[3, Th. 1]'이나 '[3, eq. (2)]', '[3. Appendix I]', '[3, Ch.2, pp. 5-10]' 따위의 인용 내 재인용을 하지 않습니다.
// Recommended!!
참조 방식대로는 오히려 '이 곳[3]의 Ch.2, pp.5-10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의 형태로 작성합니다.
2. Style
A. Format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항목을 기재하는 방식은 ‘B. Guide’를 따릅니다. 괄호로 구분된 항목은 생략 가능한 항목입니다.
[1] 저자 성명, "제목", 발행 매체, (볼륨), (이슈), (페이지), (발행연월일), (URLorDOI)
B. Guide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F. Lastname, A. Basic and C. Data, "Title of Article and the case as is", Media or Journal, vol. if-any, issue. if-any, pp. 123-125, 07, Dec. 2056, https://url-or-doi.org/some-link
[2] T. Other, "Another Title", Newspaper, 12, Mar. 2034, https://url.com
// 생략 가능한 것들을 모두 생략한, 짧은 용례는 주어진 정보만으로 원문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될 때에만 활용합니다.
[3] A. Shorter, "Example", Test
[4] Shortest Inc., "Another Example"
상세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참조 순서
- 본문 참조 순을 따릅니다.
- 본문 참조 외의 것들은 성(Lastname)의 알파벳 표기 순에 따릅니다.
- 동명이인인 경우 등 이름만으로 순서를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참조 순서는 제목의 알파벳 표기 순에 따릅니다. 첫 알파벳이 관사인지 명사인지 등을 따지지 않습니다. (‘a Test ~’와 ‘Pseudo Algorithmic ~’의 두 문헌을 참조하더라도 ‘a Test ~’를 먼저 씀)
- 각 항목(참조 순서 표기인 ‘[1]’을 포함) 이후에는 한 칸을 띄워 구분합니다. 쉼표는 앞으로 붙고 뒤를 띄웁니다.
- 저자
- 성(Lastname)을 제외한 이름(Firstname, Middlename)은 알파벳 대문자로 첫 글자를 표기하고 마침표를 찍습니다.
- 2인 이상의 이름을 표기할 때는 이름 사이를 쉼표로 구분하고 마지막 이름만 쉼표 없는 ‘and’로 잇습니다.
- 3인까지는 모두 표기합니다.
- 4인 이상인 경우 ‘et al.’로 대체 가능합니다.
- 저자명은 그 어떤 경우에도 생략되지 않습니다. 즉, 동일 저자의 여러 문헌을 참조하는 경우에도 중복 작성합니다. 이 경우, 위 ‘1.3. 동명이인인 경우~’를 따릅니다.
- 참조물의 제목은 그 어떤 경우에도 생략되지 않습니다. 제목의 대, 소문자는 원 저자의 표기를 따릅니다. (모두 대문자 표기된 기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즉, 관사 등은 소문자로 변환하는 등의 고민할 필요 없이 있는 그대로 옮기면 됩니다.
- 매체는 기울임체(이탤릭)를 사용하지 않고 기본 폰트대로 작성합니다. 발행 매체는 반드시 발행 매체가 저자와 완전히 동일한 경우만 생략합니다. (예. ‘저자: IPCC, 발행 매체: IPCC’처럼 매체가 직접 발행한 저작물이라 저자도 매체명인 경우 등)
- 날짜
- 일부 항목이 확인 불가로 인해 생략되더라도 통일성을 갖출 수 있도록 ‘날짜, 월줄임. 연도’의 양식으로 기재합니다.
- 두 자릿수를 맞추기 위해 한 자릿수인 날짜의 경우 앞에 ‘0’을 기입합니다. (예. 03, 09, 14, 31)
- 월은 줄임 표기를 활용합니다. 모두 세 자리로 맞추며 5월 ‘May’처럼 줄임이 없는 경우에도 마침표로 마무리합니다.
- Jan.
- Feb.
- Mar.
- Apr.
- May.
- Jun.
- Jul.
- Aug.
- Sep.
- Oct.
- Nov.
- Dec.
- 연월일 항목이 2개 표기된 경우, 첫 번째 표기는 원본의 발행 연월일, 두 번째 표기는 해당 자료를 확인한 접근 연월일입니다. 자주 업데이트되어 내용이 변경될 소지가 있는 웹사이트 자료 등에 적용합니다.
- 항목 간 구분은 모두 쉼표로 합니다.
- 마침표는 이름(Firstname, Middlename)의 줄임을 표기할 때, 그리고 월 형식의 줄임을 표기할 때 등장할 뿐, 참조의 마지막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4. Notes
추가적으로 위 기준에 적지 않았지만 기존 IEEE 규격과 다른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A. 쉼표의 사용 – 1
쉼표를 따옴표 내부에 기입하지 않고 외부에 표기한 것
예) ‘[1] P. Cox, R. Betts, C. Jones, S. Spall and I. Totterdell,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due to carbon-cycle feedbacks in a coupled climate model”, Nature, vol. 408, issue. 6809, pp. 184–187, Dec. 7, 2000. [Online]. Available: 10.1038/35041539.’에서 이를 규격대로 표기할 경우, ‘[1] P. Cox, R. Betts, C. Jones, S. Spall and I. Totterdell,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due to carbon-cycle feedbacks in a coupled climate model,” Nature, vol. 408, issue. 6809, pp. 184–187, Dec. 7, 2000. [Online]. Available: 10.1038/35041539.’로 쌍따옴표를 닫기 전 쉼표가 표기되어야 맞습니다. 이는 미국식 영어 문장 부호 표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B. 쉼표의 사용 – 2
IEEE는 URL/DOI 표기 시 항목 간 구분에 마침표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 참조 표기 방식의 실 사용시, 대부분의 참조 자료가 웹사이트 자료일 것으로 예측, 쉼표를 사용해 통일성을 주었습니다.
예) ‘[2] R. Ferris, “Elon Musk: We need to build a base on the moon”, CNBC, July 9, 2017. [Online]. Available: https://www.cnbc.com/2017/07/19/elon-musk-we-need-to-build-a-base-on-the-moon.html’에서 항목 간 구분을 규격대로 표기할 경우, ‘[2] R. Ferris. “Elon Musk: We need to build a base on the moon.” CNBC. https://www.cnbc.com/2017/07/19/elon-musk-we-need-to-build-a-base-on-the-moon.html’가 맞습니다. 이는 ‘IEEE Reference Guide’, ‘II. Style’의 ‘P. Websites’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단락 첫 문장에서는 쉼표를 통해 구분하는 것으로 적었으나 예시들은 모두 마침표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혼란을 막고자 모두 쉼표 구분으로 변경합니다.